반응형
분식회계란 회계장부의 조작을 통해 회사의 재무상태를 실제보다 좋아 보이게 하는 것으로, 자산/이익은 부풀리고 부채/비용은 늘이는 형태로 나타나며 이를 분류해보면 아래와 같이 크게 7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자산 과대계상
주로 재고자산을 과대 평가함으로써 매출원가를 과소평가하고 순이익을 과대평가 하는 효과를 냄
2. 부채 과소계상
부채규모를 축소하거나 은폐함
3. 수익 과대계상
매출을 다른 시기에 발생한 것처럼 조작하거나 자회사간 거래를 모회사 매출로 계상함
4. 비용 과소계상
비용을 줄이거나 귀속 시기를 왜곡함
5. 내부거래의 악용
관계회사 또는 출자회사와의 거래 시, 주요 거래의 주석기재를 누락시키거나 자회사의 부채를 계상함
6. 합병이나 분할로 인한 경제실체의 잦은 변경
자회사들과 주식, 현금, 자산을 주고받는 복잡한거래를 통해 부채는감추고 이익을 부풀림
7. 파생상품거래 악용
파생상품 및 역외펀드 거래에 관한 평가손익을 누락하거나 주석사항에 공시하지 않음
이러한 분식회계는 회계정보를 이용하는 당사자들에게 아래와 같은 악영향을 끼친다.
1. 해당 기업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려 경제활동 비용을 높인다.
2. 해당 기업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에게 금전적 피해를 입힌다.
3. 기업 외부의 채권자와 거래자들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거래 결정 판단요소의 부정확)
4. 결과적으로, 해당 기업과 그 종업원들이 피해를 입게 된다.
반응형
'About Manag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트렌드 모음 (0) | 2019.01.07 |
---|---|
삼성전자(주)가 맞을까? (주)삼성전자가 맞을까? (0) | 2018.12.27 |
이상적 기업은 고객 주문과 직접 관련된 비용이 전체비용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0) | 2018.09.18 |
고객중심 마케팅 (0) | 2018.09.03 |
기업경쟁우위의 원천, 전략적 포지셔닝 (0) | 2018.09.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