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미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현금으로 올해 상환할 부채가 얼마인지 확인하는 지표
수식
당좌비율(%) = 당좌자산(=유동자산-재고자산) / 유동부채 * 100
추가설명
경기나 실적 부진 등을 이유로 은행이 차입금 만기시점에서 기한연장 없이 상환을 독촉할 경우 기업은 유동성이 너무 낮으면 아무리 이익을 많이 낸다 해도 흑자도산을 할 수도 있는데, 이를 대비해 적정한 현금보유와 차입금 관리가 필요. 이때 사용하는 관리하는 지표가 바로 당좌비율.
회사의 유동성 관리지표로 비슷한 유동비율 보다 당좌비율보다 더 중요한 이유는 유동비율에 포함된 재고자산은 현금화가 쉽지 않아 기업의 유동성을 가늠키엔 한계가 있기 때문. (오히려 재고자산 유지비용이 더 발생할 수도 있음= 창고비용 등)
당좌비율은 높을수록 좋은데 최소 100%정도를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함. 그래야 차입금 상환에 대비하고 불필요한 이자비용을 줄일 수 있음. 단, 너무 많으면 현금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의미일 수 있음. 제조업, 소매업 등 재고자산에 현금이 많이 묶여 있는 기업들을 평가할 때 사용하면 좋은 지표. 적정한 수준은 동종업 경쟁사들과 비교 필요.
반응형
'About Manag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고회전기간 (0) | 2019.01.18 |
---|---|
대금회수기간 (0) | 2019.01.17 |
살아남으려면 결국 숫자 관리에 능해야 한다 (0) | 2019.01.09 |
고정비에 주의하라 (0) | 2019.01.08 |
2019년 트렌드 모음 (0) | 2019.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