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쓰쿠바 대학 수면 연구소와 중국 복단대 약리학과 연구진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지루한 환경에 놓여있을 때 잠에 빠지는 현상은 뇌에서 일어나는 메커니즘에 대해 연구한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진은 지루할 때 밀려오는 졸음과 관련된 것으로 뇌의 부위인 측좌핵(Nucleus accubens)을 꼽았는데, 측좌핵은 뇌에서 ‘보상-강화 시스템’을 담당하는 일종의 ‘쾌락 중추’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분비해 기분을 좋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도파민이 분비되지 않는다면 사람은 쾌락을 느낄 수 없게 되는데 연구진도 이점에 착안해 실험을 진행했다. 화학 물질과 빛 센서 감지기를 쥐의 뇌에 삽입해 측좌핵 뉴런의 활동을 관찰한 결과 화학적 자극이나 빛 자극이 가해지면 측좌핵이 각성해 정신이 멀쩡하게 깨어있는 상태가 되고, 아무런 자극을 받지 않을 때는 측좌핵이 수면을 유도해 자연스럽고 깊은 잠으로 빠지게 되는 일명 ‘서파수면(Slow-wave sleep)’ 상태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측좌핵 뉴런이 수면 유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발견된 것이다.
이번 연구의 수석 연구원인 요 오이시는 잠을 부르는 수면 유도 물질 중 하나로 ‘아데노신(Adenosine)’을 꼽았다. 아데노신은 측좌핵에 있는 수용체 중 A2A 수용체에 결합하면 측좌핵에서는 글루탐산이나 도파민 같은 여러 가지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해 수면을 유도하게 된다. 같은 원리로 아데노신과 분자 구조가 비슷한 카페인도 A2A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데, 카페인이 아데노신이 들어갈 A2A 수용체를 차지해 버렸기 때문에 아데노신이 A2A 수용체에 결합할 수가 없게 된므로 측좌핵에서 신경전달물질의 분비가 억제돼 수면이 유도되지 않기 때문에 잠을 잘 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이론으로는 뇌가 받아들이는 회로에 입력되는 정보들이 모두 인지되는데 시간이 걸리고, 집중을 하다보니 체력 에너지가 소모되고 뇌에도 과부화가 생기면서 일시적으로 작동이 휴면상태로 들어갈 것 을 준비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뇌가 판단했을 때 '쓸데없는 정보'가 많이 입력될 경우에도 비슷한 반응으로 나타나는데 지루한 수업시간에는 졸리나 재미있는 영화를 볼 때엔 졸립지 않는 이유가 이 때문이라고 한다.
요컨데, 지루할 때 졸립지 않으려면 그 것이 '재미있거나 꼭 필요한 것'임을 의식하면 졸음을 이길 수 있다는 말이다. 물론, 평소 체력을 축적해 쉽게 피곤해지지 않으려고 하는 것도 필요하다.
'라면박스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고기 부위 정리 (0) | 2019.12.30 |
---|---|
엑셀로 매월 몇주차인지 구하는 함수 (1) | 2019.11.23 |
Tips_화면에서 사라진 창 찾아내기 (0) | 2019.09.11 |
통신사 유해 사이트 차단 우회 방법 (DNS 우회) (0) | 2019.03.07 |
홈택스, 위택스, 이택스, 인터넷지로 차이 (0) | 2018.10.19 |
댓글